일단 개인적인 의견으로 결론부터 예기하면
'(현장)의료행위' 정도로 번역하면 맞을 때가 많지 않나 싶다.
임상 의학 논문과 교과서에서 제일 자주 보는 용어 중 하나는
practice일 것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쓰는 practice와는 다른 용어로
실제 진료 현장에서
어떻게 행위가 이루어지는가를 의미한다.
주로 clinical과 함께 병용하여
'clinical practice' 등의 형태로 잘 쓰인다.
이는 기초의학이나 연구에서 의학과 비교하여
임상적으로는(clinically)
어떻게 실제 행위를 하고 있는가를 뜻하며,
practice가 이런 식으로 사용될 때 더욱 '의료행위'로서의 의미가 강조되겠다.
practice를 '진료, 개원'으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예방의학에서 혹은 넓은 의미로 보면 틀린 풀이는 아니겠으나,
임상 논문 및 교과서에서 말하는 'practice'와는
일치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예문1>
These guidelines take into account current practice and recent developments.
번역1>
이 지침들은 요즘의 현장의료행위와 최근의 발전사항들을 고려했다.
예문2>
...Their use in the CICO situation should be limited 2
to experienced clinicians who use them in routine clinical practice.
번역2>
삽관도 할 수 없고 산소공급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 기계를 사용하는 사람은
일상적 임상 의료행위에서 이 기계를 사용하는
경험 많은 (임상)의사들에게 한정되어야 한다.
(긴 문장이라 번역이 매끄럽지 않게 느껴질 수 있는데, 결국 평소 쓰던 사람이 쓰란 얘기다)
예문2의 번역은 사실 '진료'라고 해도 이해가 어렵지 않겠으나,
사실 진료라는 말은 '진료 행위'로서의 의미보다
'외래 진료'를 많이 떠올리게 만들어서..
(의사협회 사전에 진료와 개원을 병기하고 있는 것이 그 방증)
시술, 수술, 약처방과 같은 행위가 모두 practice이며 논문에서 이와 같이 표현된다.
이 때 진료, 개원이라는 번역보다는
실제로 임상 의사들의 행위를 표현하는 practice는
의료행위 또는 현장의료행위 정도가 적절한 번역이 아닌가 싶다.
'의료 > 알기 쉬운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날 전신 마취의 일반적 과정 (3) (0) | 2021.01.19 |
---|---|
오늘날 전신 마취의 일반적 과정 (2) (0) | 2021.01.09 |
오늘날 전신 마취의 일반적 과정 (1) (0) | 2021.01.04 |
저렴한 수술실 신발 만들기 (0) | 2020.12.02 |
과호흡 증후군 (0) | 201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