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논문을 읽으시다 보면,
Room air에서 산소포화도가 어쨌다는 이야기가 많을 겁니다.
그럼 초반에는 많이들 궁금하실 거 같은 부분이
room air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대강 의미를 알아도 뭐라고 번역하면 좋을까?
라는 생각을 하실 거 같습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대기'라고 번역해도 의미의 손상이 크게 없지 않을까 합니다
대부분 감을 잡으셨겠지만,
room air 라 함은 실내 중에 있는 우리가 들이마시는 공기(산소분율 21%)를 뜻합니다.
이 용어는, 임상에서 흔히 쓰는 안면 산소마스크나
다른 oxygen supplementation(비강 캐뉼라, 고유량 산소 치료 등...)를 통해서
산소 흡입 분율(FiO2; Inspiratory oxygen fraction)이 높아져 있는 공기와
대조적으로 쓰기 위한 말입니다.
예를 들어 'FiO2가 40%일 때는 혈중 산소포화도가 99%였다.
나중에 보니 room air 에서는 혈중 산소포화도가 95%정도 였다'는 내용 등이겠죠
대한의사협회 의학용어사전에는 room air라는 표제어가 등록되어 있지 않고,
다른 대부분의 사전에도 마찬가지인 듯합니다.
아쉽게도 merriam-webster 등 외국 사전에도 딱히 풀이가 등록되어 있지는 않은데
어느 웹 사전에는 (https://medic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room+air)
'Unmodified, ambient air. The typical oxygen concentration is 21%.'라고 등재되어 있습니다.
ambient air = 대기입니다.
물론 실외냐 실내냐를 구분하시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실내에서는 산소 분율이 더 낮지 않겠습니까?'
라고 하고 싶을 수 있는데 임상적으로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렇게 엄밀한 경우에는 FiO2=0.21이라고 명시했을 것이고,
사실 병원 시설에서는 대부분 환기가 중요해서 실외랑 기체 구성이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room air ≒ ambient air ≒ 대기 로 번역하셔도
의학적 의사소통에서는 문맥 상 큰 무리가 없겠습니다.
다만, 실내와 실외의 공기의 영향을 비교한 논문이라면 차이가 있겠습니다.
'의료 > 알기 쉬운 의학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mRNA 백신의 심근염 발생률이 80%? (0) | 2021.07.26 |
---|---|
의무기록에서 s 와 c 는 무슨 줄임말 일까? (0) | 2021.07.15 |
'mmHg', 'cmH2O'는 어떻게 읽을까? (0) | 2021.02.14 |
오늘날 전신 마취의 일반적 과정 (4) (0) | 2021.01.31 |
코로나 백신은 내 유전자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을까? (0)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