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실 제가 제일 잘 아는 분야이자 일하고 있는 분야는 마취입니다

의외로 블로그에 글을 보러 오시는 분들이 있길래,

마취에 관한 글도 써보려 합니다.

아무래도 블로그에는 일반인들이 더 많이 오실 거 같아서,

보편적이고 쉬운 내용 위주로 기술해드리려 합니다.


첫번째 주제는 역시 마취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인

'전신 마취'로 하려 합니다.


전신 마취는 소위 '수면 마취'와는 다른데요,

'수면 마취'는 사실 자가 호흡 등 필수적 반사 상태는 유지하는

'의식하 진정 치료'를 주로 지칭하는 말입니다.


전신 마취, 즉 general anesthesia는 마취과정 동안 스스로 호흡이 불가능할 만큼

의식을 잃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호흡 보조가 필요합니다.






전신 마취 과정은 일단 수술방 안에만 간단히 얘기하면,


유도 - 삽관 - 유지 - 각성 - 발관 - 퇴실

Induction - intubation - maintenance - emergence - extubation - discharge


입니다.


(수술방 안에서만이라고 하는 것은,

 수술전과 수술후 과정이 또 있기에..

수술 전-중-후를 통틀어 주술기peri-operative period라고 합니다)


1)

induction 이라는 유도 과정은,

깨있는 사람을 재우는 과정입니다. 


언론에서 자주 접하셨을 '프로포폴'과 같은 주로 정맥 마취제를 통해 의식을 잃게 만듭니다.

프로포폴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약물로는

Thiopental(상품명 펜토탈), ketamine, etomidate, midazolam 등 다양한 약물이 있습니다.


이때, 신경근차단제라는 약물을 보통 같이 줍니다.

원래 신경이 근육한테 수축하라고 신호를 보낼라면 신경의 끝에서 아세틸콜린이라는 녀석이 나오는데,

이 신경근차단제라는 놈이 아세틸콜린이 붙어야하는 곳을 차지합니다.

그럼 근육이 수축을 못합니다. 으앙


환자가 반사적 작용을 하거나 움직여서 다치거나 수술을 방해한다든지,

인공호흡기의 호흡 사이클과 불일치하는 숨을 쉰다든지 하는 작용을 막아줍니다.

또한 근육의 장력(혹은 긴장도; tension의 번역)이 감소하여 수술 부위 노출이나 근육 당기기가 쉬워집니다.



2)

그럼 이렇게 의식도 잃었는데 근육이 움직이지도 못하면

환자를 놔두면 돌아가십니다. 

당연히 호흡도 횡경막 및 흉곽에 달린 근육들의 작용으로 일어나는 행위임을 아실 겁니다.

얘네도 근육이기 때문에 예외가 없습니다.


그래서 보통 마취 기계 보러 숨을 대신 쉬어달라고 합니다.

기계랑 환자를 연결해드려야하는데요,

그래서 삽관을 합니다.

in(넣다) + tube (관) + -ation(해버려)

용어가 참 쉽죠


환자가 많이 움직이거 같거나, 수술이 길다든지, 기도가 어려울 거 같다든지

여튼 여러 상황에서 신뢰도가 가장 높은 기도 확보 방법은

endotracheal tube라고, 기도내 삽관을 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히 설명해드리면 관을 입-성대-기관의 경로를 통해서

폐에 공기가 드나들 수 있게 해주는 겁니다.

tube는 보통 PVC 재질이 제일 흔하고,

안쪽 지름이 7~8mm정도, 바깥 지름이 10~11mm정도 합니다.


유튜브에 endotracheal intubation 치면 요즘 세상이 좋아져서

넣는 과정도 구경하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8CwLSenUWnw

이건 그냥 하나의 예인데, 원체 영상이 많아서 아무거나 보셔도 됩니다.


사람의 입이 턱관절이라는 제한은 있어서 무제한 벌릴 수 없는데,

저 곡괭이 같은 후두경이 들어가야 합니다.

그래서 이 과정에서 치아가 종종 다치시거나(에나멜질이 깨지거나, 원래 흔들리시던 치아는 발치가 되는 경우까지),

목 안에 찰과상, 출혈이 생기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환자가 거의 안 움직일 거 같고, 간단한 수술인 경우에는

성문상 기도 유지기(Supraglottic airway device; SAD, SGA)라는 걸 쓸 수도 있습니다.

이건 성대 바로 위에 장치를 위치시켜서 마취 기계랑 사람을 연결시키는 건데,

성대를 통과하여 기관 안에 넣는 게 아니다보니,

환자가 갑자기 움직이면 빠진다든지,

아니면 시간이 지나면서 성대 바로 위에서 자리를 이탈하는 일(displacement, dislodgement)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점이 있는데, 기관내 삽관에 비해서 필요한 신경근 차단제의 용량이 작습니다.

기관내 삽관을 할 줄 몰라도 성문상 기도 유지기는 넣는데 성공할 수 있고요.

또한 기도에 자극이 덜 되서 합병증이 적다는 연구도 꽤 있습니다.




나머지는 나중에 또 써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커피를 마시고 잠이 안오는 밤,
모 페북 페이지에 연세대 소속변경에 의해
신촌캠퍼스 학생이 학점에 있어서
상대적 불이익을 받았다는 글을 접하게 되었다.
발단글은 신촌캠 공대 수석 학생이,
소속변경으로 올라온 원주 캠퍼스 학생에 의해
학점의 불이익을 받았다는 내용이다.
이에 대해서 커뮤니티에 달린 댓글 반응 등을
캡처해서 올린 게시물이었는데...

 

 

나한테 외려 눈에 들어오는 건 페북 댓글 반응이었다.
'원세대', '원주캠퍼스'라는 명칭이 비하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어이가 털린다', '악질이다'라는 표현을 하기도 했다.
그런데 나는 학교를 다닐 때부터 지금까지 '원세'가 비하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렇게 생각할 이유가 딱히 없다고 생각한다.
물리적으로 연세대학교 현 '미래 캠퍼스'(구 원주 캠퍼스)가
강원도 원주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냥, 원주에 사는 사람들을 '원주민'이라고 아무렇지 않게 부르듯,
도시의 앞글자와 학교 이름을 합쳐서
입에 쉽게 붙으니 그렇게 부를 수도 있는 것이다.
제3자 입장에서 생각해 보면 딱히 비하의 의미를 가질 이유가 없다.
스스로 '원세대'라는 명칭을 비하의 의미로 여긴다면,
가장 중요한 기전은 자격지심일 것이다.
자신이 원주의 연세대학교 '분교'를 다님으로써,
신촌캠퍼스에 비해 나의 가치가 떨어질 것이라는 생각을
무의식 중에(혹은 의식적으로도)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강원도 소재 대학교 재학에 대한 자격지심,
신촌캠퍼스에 비해 대학 입시 성적이 낮은 것에 대한 자격지심이 깔려 있다.
그리고 '원주 캠퍼스'대신 '미래 캠퍼스'로 불러 달라는,
미성숙한 방어 기제(부정)를 사용하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 그네들도 알 수 있을 지 모르겠지만,
중요한 건 내가 재학을 하면서 무엇을 하느냐이다.
대학 생활에서 학교 이름이나 위치의 중요성은,
글쎄, 내 생각에서는 원세대 정도 되면 그렇게 신경써야하나 싶다.
(예를 들어 폐교 조치 정도의 문제가 있는 대학이라면 신경 쓰이는 게 당연)
정해진 커리큘럼 안에서 내가 얼마나 전문성을 발전시킬 것인가,
어떤 미래의 계획을 그려갈 것인가,
지금 젊음을 어떻게 즐길 것인가,
어떤 친구들을 사귈 것인가,
돌아오지 않을 시간들을 무엇으로 꽉꽉 채워나갈 것인가
나는 이런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나는 나의 행복한 대학 시절을 보낸 '원세대'가 전혀 모욕적이지 않고,
자랑스러울 것까진 없더라도 사랑스러움에는 틀림이 없다.
나는 원주에 갈 때마다 기분이 좋다.
원세대에서 나는 인생에서 제일 즐거웠던 시간들을 보냈다.
'소변'(소속 변경)과 같은 용어는 누가봐도 모욕적 의미가 느껴지지만,
'원세대'라는 가치중립적인 용어에까지 자격지심을 투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요지(要旨)다.
오해는 없길 바란다.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와 원주캠퍼스가 입시 성적이 같다든지,
교육적 질 및 내용에 차이가 없다는 망상을 하라는 것이 아니다.
단지 나온 대학이 강원도에 있다고 해서
인생이 크게 불행해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자격지심만이 당신을 불행하게 만든다.
중요한 건 지금 내가 무엇을 하고 있고, 앞으로 할 수 있느냐다.

 

- 사족으로 덧붙이면 소속 변경 시 성적 기록이 신촌 캠퍼스에서도 유지되는 것은
학교 측의 큰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객관적으로 각 대학의 커리큘럼에서 강의 내용과 수강생들이 다른데
이를 같은 학점으로 평가할 수는 없는 것이다.
소속 변경 후 석차를 매길 때는 당연히 변경 후 성적만으로 석차를 매기는 것이 맞다.
현 집단에서 나의 위치를 평가하려면 현 집단과 경쟁한 성적을 기반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제도적인 문제고, 학교 측과 학생 단체의 협의로 풀어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등록금도 좀 구별이 있어야 하지 않나 싶은데
이는 말을 아끼겠다....
반응형
반응형

수술실 신발들은 대체로 비싸다.


내맘대로 추측건데 80% 정도의 전공의(인턴 및 레지던트)는 크록스를 사서 신을 것이다.


그런데 별 것도 아닌 이런 신발들이 대체로 2만원을 넘고 비싼 건 4만원도 넘는다.


그 돈을 주고 완벽히 원하는 신발을 찾으면 그나마 다행인데,


대한민국에 들어오는 크록스들의 문제가


발목 앞까지 완전히 막혀있는 모델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나만 그런가?


그런데 사실 피, 베타딘, irrigation 용액이 튀기거나

신발 안으로 들어오는 걸 막으려면 앞은 완전히 막혀있고, 

약간의 높이는 있어야 한다.


엄청 비싼돈 주고 외국에서 들어오는 신발들 중에는 이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더러 있던데..

이런 경우 10만원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마트에서 어쩌다 보니 약 7천원하는 좋은 신발이 있는 것이다.

단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바닥에 구멍이 없다는 것이었다.

eva 거실 슬리퍼 - 검색결과 | 쇼핑하우


그래서 이걸 사서.. 드릴로 바닥에 구멍을 뚫고 쓰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1달 전에 도어락 고치냐고 샀던 드릴을 옳다구나 하고 꺼냈다.

 

앞에 피스는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걸 끼웠다.

 

 

완성된 모습

 

장점

7천원이면 된다

앞이 막혀있는 수술실 신발을 만들 수 있다

크록스처럼 고무에 발 때가 덕지덕지 붙을 거 같지 않다

크록스처럼 발뒤꿈치 말라서 각질화되는 게 덜할 거 같다

 

단점

사이즈가 다양하지 않다(내가 간 이마트에선 그랬다)

구멍을 뚫을 때 적잖은 합성수지 분진이 생긴다.. 건강에 매우 안좋을 거 같으니 드릴질 할 때 N95 마스크를 착용하고 하자.

다 뚫고 나서도 이 분진이 묻어난다. 물로 닦아서 말리고 쓰자

내구성이 의심스럽다

 

뭐 그랬고,

내일부터 잘 써봐야겠다.



---------------------------------------------------------------------------


일주일 사용 후기


역시 발뒤꿈치가 덜 건조하다.

근데 쿠션은 아무래도 크록스보다 덜 푹신하다.

크록스보다 덜 유연하다.


그래도 싼 값에 그럴 듯하게 사용 가능해서 만족해서 사용 중이다 ㅎㅎ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