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는 좀 더 이상주의를 지향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모두가 다같이 행복한 길이 있다고 믿었고
갈등이라는 건 좀 더 쉽사리 해결되는 것이라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사람마다 개인 사정 및 살아온 환경에 따라 관점이 달라지고
다른 쪽의 판단을 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모두가 진정으로 바라는 지향점이라는 게 애초에 존재하는 지조차 명확치 않습니다

그래서 사실 갈등의 여지를 안만드려면 탄탄한 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의 자율에 맡기는 건 잘되었을 땐 아름답고 미담이 되나 사실 실제로는 엉망이 되기 쉽습니다.
특히 시민 의식이 충분히 고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도라는 약속 위에서 문화를 차차 바꿔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생각나는 것으로는 흡연 문화와 금연법의 관계를 생각해보았을 때 그렇습니다.
제가 글을 잘 못쓰기 때문에 기사의 한 부분을 인용하겠습니다.

http://www.k-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82
 "70~80년대에는 한 집안의 가장은 소파에 드러누워 배우자가 가져다 주는 재떨이에 담뱃재를 떨구며 보란 듯이 담배연기를 내뿜을 수 있었다. 지금으로는 상상할 수 없는 가정, 그것도 안방 흡연의 모습이었다. 또 언제, 어디에서, 담배를 피우건 제지 받는 경우도 거의 없었지만 아이러니 하게도 여성의 흡연은 당시에는 지탄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과 함께 정부의 금연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2004년 헌법재판소가 ‘혐연권이 흡연권보다 우선한다.’고 결정한 이래 상황이 역전되기 시작했다. 여성 흡연율은 급증했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모습도 유연해졌지만, 티비에서 담배피우는 모습이 모자이크되어 나올 정도로 금연은 일종의 문화가 되어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조직이나 단체, 심지어 최근에는 국가까지 흡연자들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 꼭 문화의 정착이 법제도에 선행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며 둘은 긴밀히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시민의식이 못미칠 경우 제도가 선행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갈등이 적절한 제도의 정착과 공감대 형성으로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응급실에 있다보면 숨을 몰아쉬며 팔다리에 마비가 오고 심한 경우 혀까지 꼬여 구급차를 타고 오는 과호흡 증후군 환자들을 거의 매일 봅니다.

과호흡 증후군은 간단히 설명하면 몸 안의 이산화탄소가 과도하게 빠져나가 생기고,
치료는 최대한 배로 숨을 쉬어 횡경막으로 호흡하고 천천히 숨을 쉬는 것이 중요합니다.

과호흡 증후군 때문에 사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안심하고 안정을 취하시면 증상 완화에 더더욱 많은 도움이 될 듯합니다.

 <개요>
과호흡 증후군은 고전적으로 정의로

(분당 호흡량)>(대사 요구량)

인 상황이다. 혈압이 떨어지고 이산화탄소 분압이 떨어져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과호흡 증후군 발작 도중 많은 환자가 이산화탄소 분압이 낮지 않은 상태를 보이면서 이 정의에 수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현재의 이론으로는 행동학적 호흡부족이나 심인성 호흡곤란이 적절한 용어이다.

<역학>
전체 인구 6% 정도가 과호흡 증후군을 나타낸다고 한다. 15~55세 사이에 제일 많지만 모든 연령에 나타나며 여성에게 7배 정도 많다.

<병태생리>
급성과 만성으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급성은 1% 밖에 안 되지만 더 쉽게 진단 가능하다.
분당 호흡량에 절대적인 양이 변하지 않더라도 환자가 자주 한숨을 쉰다면 저탄소혈증이 지속될 수 있다.
이론 중 하나는 특정 스트레스 요인들이 과장된 호흡 반응을 일으킨다느 것이다. 해당 스트레스 요인들로는 감정적 고통, 젖산, 이산화탄소, 카페인, isoproterenol, cholecystokinin 등이 있다.
보통 1회 호흡량은 안정 상태에서 폐활량의 35~40%정도이다. 흉벽의 탄성력이 과도팽창을 막고, 그 이상 흡기량은 호흡곤란이나 노력호흡으로 인지한다.과호흡 증후군 환자는 횡격막보다는 위쪽 가슴을 이용하여 숨을 쉬는 경우가 많아 폐의 만성적인 과도팽창을 일으킨다. 

<감별 질환>
가장 중요한 감별 질환은 급성 심장동맥 증후군과 폐색전증이다. pulse oximetry와 가슴 x-ray, 심전도, 임상적 상황을 통하여 감별하도록 한다.

<치료>
봉지에 재호흡하는 것은 더 이상 추천 치료가 아니며 저산소증과 사망을 일으킬 수 있다.
환자의 위쪽 가슴을 압박하고 호기를 최대한 길게 하는 것이 폐의 과도팽창을 막는다. 환자에게 흉벽보다는 횡경막을 쓰도록 유도하는데, 배로 숨을 쉬어보라고 한다.

<예후>
과호흡 증후군에 의하여 사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심혈관 질환과 과호흡 증후군을 같이 앓는 경우 과호흡 증후군에 의하여 혈관수축이 일어나 심근 허혈을 일으킬 수는 있다.

* 이 글은 단순히 정보를 제공할 뿐 의료진단, 치료상담 등 전문적인 의학적 권고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무단 전제 및 재배포 금지
공유 시 출처 명기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출처: 한겨레

<도민이 출자한 ‘하늘 버스’…제주-서울 상공 달리는 부푼 꿈>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648708.html


대한항공 조종사노동조합 초대 위원장 출신인 이성재(66)씨는 “경영진부터 직원까지 같은 조합원이기 때문에 대화 통로가 항상 열려 있다는 점이 안전운항에는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협동조합의 원칙은 민주성, 책임성, 공평성, 협력 등이기 때문에 일반 주식회사처럼 부의 집중이 이뤄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며 “이런 항공사가 세계 어디에 있느냐. 항공사 협동조합이 설립되면 가장 아름답고 자랑스러운 항공사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항공사 협동조합 설립의 관건은 제주도민의 절대적 지지와 주도적 참여, 자본금 확보다. 농협, 수협, 신협 등 기관 투자자들이 나설지도 의문이다. 제주도민이 주도하고,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는 형식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제주도에서 도민이 출자하여 운영하는 항공사를 운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하네요!

도민들께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셔서 풀뿌리 경제의 좋은 사례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생활협동조합은 간단히 말해 필요한 사람들이 모여 스스로 주인이 되어 운영하는 공동체인데,

의료기관도 이런 협동조합을 설립하여 운영하는 사례들이 꽤 많습니다.

한두번쯤 들어보셨을 만한 '제너럴닥터' 2011년부터 생협 형태로 운영을 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검색해보니 제가 사는 원주에도 의료생협이 있네요! (원주의료생협 : http://www.wjmedcoop.org/)

주위에 관심을 좀 더 가져 이런 곳들을 이용해봐야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